전체 글 8

Slack API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

슬랙에서 봇이 사용되는 것은 알고 있었으나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 궁금해져서 오늘은 슬랙에서 봇을 직접 만들어보려고 한다.우선 앱을 생성해줌앱 생성1. Slack api > Create an App 버튼 클릭( 그 이전에 슬랙 로그인과 채널 생성은 되어 있는 상태여야 함 )https://api.slack.com/apps2. From scratch 버튼 클릭3. 앱의 이름 & 워크스페이스 선택이름은 변경 가능하여 아무거나 입력해줘도 괜찮음. 다만, 워크 스페이스는 이후 메신저 봇이 메세지를 보내야 하는 워크스페이스로 설정해줘야 하는데 워크스페이스는 변경 불가하니 주의해서 선택해야 한다.앱과 워크스페이스 선택 후 Create App 버튼을 클릭함슬랙에서 봇을 생성할 때 위의 과정은 동일하고 목적에 따라 Bo..

카테고리 없음 2025.01.24

VMware에 Rocky Linux 설치

CentOS의 공식 지원이 종료 되면서 후속으로 출시된 Rokcy Linux 오늘은 Rocky Linux를 가상환경에 설치 해보자                         vm 생성                          나중에 선택                                            > Linux                         VM 이름 설정                                               디스크 용량 설정 (대용량 서버 올릴 거 아니면 50GB만 되어도 충분)                        다운 받은 ISO 파일 선택  ISO 파일을 아래에서 다운 가능하다 (최신 버전 9.5)https://rockylinux.o..

Linux 2025.01.07

[Linux] 기본 명령어

1. ls (List)ls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기본 형식으로 보여준다.ls -l :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함께 리스트업 한다.ls -a :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2. cd (Change Directory)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한다.cd Documents : 현재 디렉토리에서 'Documents'라는 이름의 폴더로 이동한다.cd ..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폴더로 이동한다. (즉, 되돌아간다.)3. pwd (Print Working Directory)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한다.4. mkdir (Make Directory)mkdir은 새로운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한다.mkdir new_folder : 현재 디렉토리에 'n..

Linux 2025.01.06

[Angular] 3. 생명주기(life cycle)와 훅 메소드

컴포넌트와 디렉티브는 생명주기를 가짐이 생명주기는 컴포넌트와 디렉티브가 생성하고 소멸되기까지의 여러 과정을 말하며Angular에 의해 관리다시 말해 Angular는 생명주기를 통해 컴포넌트와 디렉티브를 생성하고 렌더링하며,프로퍼티의 변화를 체크하고 DOM에서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관리개발자는 Angular가 제공하는 생명주기 훅 메소드를 구현하여,각각의 생명주기 단계에서 처리하여야 할 행위를 정의할 수 있음Angular는 위 그림의 순서대로 생명주기를 관리하고,생명주기 이름 앞에 ng가 붙은 생명주기 훅 메소드를 제공1. 생명주기 훅 메소드생명주기 훅 메소드는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제공예를 들어 OnInit 생명주기에 처리되어야 할 행위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훅 메소드 ngOnInit를 구현이 ngOnIn..

Angular 2024.11.14

[Angular] 2-1. Angular의 구성요소

컴포넌트컴포넌트는 Angular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Angular 애플리케이션은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구성컴포넌트의 역할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구성하는 뷰(View)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고Angular는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하나의 완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컴포넌트는 컴포넌트 클래스와 템플릿으로 구성되는데,컴포넌트 클래스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와 로직을 처리하고템플릿은 화면에 표시할 HTML을 정의Angular 컴포넌트는 컴포넌트 클래스에 @Component 데코레이터를 사용해서컴포넌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지정하면서 템플릿도 함께 지정하는 형태를 띄고 있음import { Component } from '@angular/core';@Component({ selector: 'app-hello', tem..

Angular 2024.11.12

[Angular] 2. Angular의 구성요소

컴포넌트컴포넌트는 템플릿과 메타데이터, 컴포넌트 클래스로 구성되며 데이터 바인딩에 의해 연결컴포넌트는 화면을 구성하는 View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며 화면은 1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구성디렉티브애플리케이션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뷰에 관련한 공통 관심사를 컴포넌트에서 분리하여 구현한 것으로,컴포넌트의 복잡도를 낮추고 가독성을 높임구조 디렉티브와 어트리뷰트 디렉티브로 구분할 수 있으며,큰 틀에서 컴포넌트 또한 디렉티브로 구분할 수 있음서비스다양한 목적의 애플리케이션 공통 로직을 담당컴포넌트에서 애플리케이션 전역 관심사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며, 의존성 주입이 가능한 클래스로 작성됨라우터컴포넌트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뷰를 전환하여 화면 간 이동을 구현모듈기능적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를 하..

Angular 2024.11.12

[Angular] 1. 앵귤러(Angular) 시작

1. Angular 소개Angular는 SPA 개발을 위한 구글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정적 타입을 제공하는 TypeScript를 주력 언어로 채택하여,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Angular의 장점1) 컴포넌트 기반 개발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은 개발 생산성을 높이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구조이다. 2) TypeScript 채택Angular가 기본언어로 채택하고 있는 TypeScript의 명시적 타입 지정은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예측할 수 있게 하며, 컴파일 단계에서 오류를 포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3) 개발도구의 통합 및 개발 환경 구축 자동화Angular CLI를 통해 간편한 개발 환경 구축을 지원함프레임워크를 도입할 때 장벽으로 손꼽히는 것 중 하나가 개..

Angular 2024.11.12

[Linux] vi 편집기 사용법 및 명령어

vi의 세 가지 모드1. 명령 모드 (command mode)2. 입력 모드 (insert mode)3. 콜론 모드4. vi 구성vi 명령어Linux 셀 상에서 vi [파일명]을 입력하면 새로운 문서를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다.ex) vi file1vi의 세 가지 모드1. 명령 모드 (command mode)vi 명령어를 통해 vi를 시작할 경우 실행되는 모드.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2. 입력 모드 (insert mode)명령 모드에서 i 또는 a 키를 눌러 입력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입력 모드에서는 자유롭게 코드나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명령 모드로 돌아갈 때에는 ESC를 누르면 된다.i : 커서가 현재 위치한 부분에서부터 시작a : 커서 바로 다음 부분부터 시작shift..

Linux 2024.11.11